와이파이 연결은 되는데 컴퓨터 인터넷 안될때

Опубликовано: 18 Октябрь 2024
на канале: 디크리노랗
1,016
1

와이파이는 연결되었지만 컴퓨터에서 인터넷이 되지 않는 문제는 흔히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특히 핸드폰이나 노트북 같은 무선 기기는 정상적으로 연결되지만, 데스크탑 컴퓨터에서만 인터넷이 안 될 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이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공유기 재부팅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간단한 해결 방법은 공유기를 재부팅하는 것입니다. 공유기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면 임시 데이터가 초기화되어 네트워크 연결이 재설정됩니다. 공유기의 전원 버튼을 끄고 랜선을 분리한 후 다시 연결해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는지 확인해보세요.

2. 랜선 및 연결 상태 확인
다음으로, 컴퓨터와 공유기 사이의 유선 연결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랜선이 정확하게 꽂혀 있는지, 또는 포트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체크하세요. 만약 랜선을 다른 포트에 꽂아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랜선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네트워크 설정 확인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도 중요한 점입니다.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에서 IP 주소와 DNS 서버 설정이 자동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한 경우 잘못된 정보가 입력되어 인터넷 연결이 안 될 수 있습니다.

4. 랜카드 드라이버 문제
랜카드 드라이버가 손상되었거나 오래된 경우 인터넷 연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거나 이전 버전으로 롤백해보세요.

5. IP 주소 관련 문제
IP 주소 충돌 또는 설정 오류로 인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ipconfig /release와 ipconfig /renew 명령어를 입력해 IP 주소를 새로 할당해보세요. 이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ipconfig /flushdns 명령어로 DNS 캐시를 새로고침하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6. 공유기 초기화
모든 시도를 했지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공유기를 초기화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공유기 뒷면에 있는 리셋 버튼을 10~15초간 누르면 모든 설정이 공장 초기화됩니다. 초기화 후에는 와이파이 설정을 다시 해야 하므로 이 방법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